이번엔 HTTP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HTTP는 이미 여러 버전들이 존재하는데, 오늘은 HTTP의 시초격이라고 할 수 있는 HTTP 1.1 버전부터 알아볼 것이다. 잘 따라오라고~~!! 📌 What about HTTP? 'Hyper Text Transport Protocol' , HTTP 쉽게 말하면 우리가 인터넷 화면에서 보는 html 파일을 실어나르는 통신 프로토콜이다. 즉 웹 브라우저에서 글, 사진, 영상 등을 볼 수 있게 만든 것! 네트워크 장치 간에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계된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프로토콜이다. HTTP는 Transport Layer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가운데 TCP를 사용하면서 실행된다. 여기서 오해하면 안되는 것이, 초기 HTTP의 탄생 목적은 웹서버에 있는 파일을 그저 웹브라..
TCP, UDP 흔히 통신 프로토콜의 두 강자라고 불리는 이 둘의 차이를 러프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UDP : 아무것도 안하는 애 TCP : 거의 다 하는 애 3, 4계층에서 이루어지는 공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두 개의 host 들 사이에서 datagram을 송수신하는 단계로, 이 송수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러를 검출하고 복구하는 계층이 바로 Transport layer, 4계층이다. (물론 4계층에서는 더 중요한 작업이 있긴 하다.) 그리고 3계층과 4계층에서 이루어지는 '어떤 프로세스'를 수행하는데 있어 필요한 통신 프로토콜이 바로 TCP, UDP다. ➡️ 3계층 :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에 논리적인 줄을 연결하는 것. (라우터를 가운데에 위치시키고 두 개의 줄을 갖는다. But 그렇다고 2개의 ..
이번 네트워크 편에서는 통신 기술이 갖는 '7계층 구조'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우리가 아는 대다수의 통신 시퀀스는 OSI 7 계층의 각 단계별 구조화를 거쳐서 작동한다. 그리고 각 계층별 맡고 있는 역할은 굉장히 상이한데, 이번 편에서는 OSI 7 계층 가운데 1~4계층까지에 대해 다뤄보려 한다. 앞서 [통신 프로토콜과 네트워크]에서 LAN, MAN, WAN 에 대해 간단하게 언급했다. 규모로 구분지었던 이 통신 네트워크들은 7가지의 층으로 구분되어 층마다 상이한 'Action'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중요한 건 층마다의 액션은 존재하지만, '각 계층들 간의 상관관계는 존재하지 않고', 대신 해야 할 일에 '선후관계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이는 역할에 따른 동작을 할 때 서로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다는 의..
1. 통신 프로토콜(protocol) 현대의 통신 프로토콜은 대부분 오픈소스화되어 있다. 어떻게, 왜 만들어지는 것인지 알아보자!! 최근 통신기술은 어떻게 만들어지느냐?? 1. 필요한 통신 프로토콜을 우선 생성한다. 2. 오픈소스로 통신 기술을 대중에게 제공한다. 3. 필요 시 만든 통신 프로토콜을 표준화(standard)한다. 2. 인터넷의 시작 미국의 4개 대학에게 미 국방부가 명령을 하달. 어떤 명령? “본토가 폭격당하더라도 군 명령이 전달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만들어라.” 초기 네트워크의 key 설계 철학은 무엇이었을까. 바로 'Survivality'. 폭격에도 견디고 살아남을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 → 멀티미디어, 고속성도 아님. 어떻게든 살아남아서 군 명령체계를 전달하는 것이..